공기업 기출로 보는 상식 - 시치미 떼다
우리는 일상속에서 정확한 뜻과 어원은 모르지만, 자주 사용하는 말(단어,문장)이 있습니다.
그 중 "시치미 떼다" 라는 말을 듣거나, 사용해 보신적이 있으실텐데요.
"시치미"가 "매 사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매 사냥
중앙아시아와 중동 지방에서 발달한 매사냥은 중국 북부와 몽골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해진 시기는 분명하지 않지만 고조선 때부터 이미 매사냥을 했다고 합니다.
매사냥이 활성화된 시기는 고려 시대입니다. 특히 고려 충렬왕 때가 최고의 전성기였습니다.
직접 매사냥을 즐겼던 충렬왕은 매의 사육과 사냥을 담당하는 ‘응방’이란 관청을 두었습니다.
고려 때 문인 이조년이 쓴 《응골방》이란 책에는 매사냥에 관한 소중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시치미를 달아둔다고 해서, 도망쳐버린 매를 되찾긴 어려웠습니다.
배가 불러 달아나버린 매는 주변 인가를 떠돌다,
매를 탐내는 또 다른 수알치들에게 붙잡혔기 때문이었습니다.
수알치들은 이렇게 붙잡힌 매의 시치미를 떼어버려서 자기것으로 만들어버렸고,
이로 인해 "시치미를 떼다"라는 말이 나온것입니다.
- 읽혀지는 글자는 같지만 다른 의미
일본의 먹거리 중 하나인 시치미(七味)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단독으로 먹는 음식이기 보단, 음식의 맛을 살려주는 조미료(소스)정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그나마 비슷한게 양꼬치전문점에서 주는 소스? 정도라고 할수 있을거같습니다.
보통 라면이나 메밀국수 등 면요리 전문점에서는 항상 구비되어 있습니다.
물론 면요리에 뿌려먹기도 하지만, 고기류에도 뿌려서 먹기도 합니다.
공기업 기출로 보는 상식 - 시치미를 떼다 편 끝.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실 폭행 가해자에 대한 '처벌 하한제'가 도입된다 (0) | 2018.11.11 |
---|---|
상추, 먹으면 잠이온다? (0) | 2018.10.22 |
배송대행B2B서비스란? (0) | 2018.10.20 |
제휴마케팅 초보들을 위한 마케팅 용어 33가지 정리 (0) | 2018.10.20 |
IT업계에서 ITO / SI / SM 이란? (0) | 2018.10.20 |